티스토리 뷰

4. 무대시설의 안전 2


   1- 상부 무대시설 구동 방식

       1) 상부 무대시설 구동 방식의 구분

           - 전동식 무대시설 : 윈치 방식, 평형추 방식, 윈치-평형추 방식

           - 수동식 무대 시설

       2) 윈치 방식

           - 전동기 용량이 커야 한다 : 전동기가 모든 하중을 담당

           - 공간 활용 용의 : 별도의 평형추 박스 공간 불필요

           - 권선여유 2바퀴 이상 확보

       3) 평형추 방식

           - 고속 운전 시 슬립현상의 발생 위험

           - 로빙 방식은 1:1, 2:1 방식으로 구분

       4) 윈치-평형추 방식

           - 윈치 드럼과 평형추가 하중을 분산하여 담당

       5) 수동 평형추 방식

           - 설치 하중과 평형추 하중을 동일하게 하고 인력으로 작동

           - 이동 후 무대시설의 잠금장치 필요

       6) 수평 개폐 방식

           - 커튼을 열고 닫는데 주로 사용되며 전동식과 수동식이 있음

           - 캐리어 또는 팬터그래프가 주로 이용됨


   2- 상부 무대시설의 종류와 특징

       1) 면막

           - 객석과 무대를 차단, 공연장의 상징물 역할

           - 하중이 커 평형추 방식 적용

       2) 모양막

           - 다양한 모양으로 면막의 단조로움 보완

           - 커튼이 겹쳐질 경우 간섭 유의

           - 조명과 가까이 설치되므로 조명 과열에 의한 화재 주의

       3) 오페라 커튼

           - 커튼을 사선으로 개폐하는 장치

       4) 끌막

           - 주 무대의 사용 폭 조절

           - 무대 측면을 가려줌

       5) 다리과 머리막

           - 무대 측면과 상부에 설치하여 관객의 시야 차단

           - 주 무대 높이와 폭 조절

       6) 하늘막

           - 흑막과 백막 사용

       7) 조명 브리지

           - 평형추 구동방식을 주로 사용

           - 갤러리를 통해 접근하므로 안전장치 필요

       8) 조명 시설

           - 조명봉, 하늘막 상단조명, 평조명 등이 있음

           - 조명기의 추락 방지 안전고리 체결 필요

           - 안전망 설치 필요

       9) 조명탑과 조명 사다리

           - 무대 측면에 설치된 조명 시설

           - 작업자를 위한 안전철망 설치 필요

       10) 음향 반사판

           - 천장 음향 반사판, 측면 음향 반사판, 후면 음향 반사판으로 구성

           - 고정부 및 체결부의 강도가 충분하도록 설계 필요


댓글